무주군이 귀농·귀촌 정책의 내실화를 위해 전문가와 함께 실질적인 대안을 모색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군은 지난 16일 무주군 귀농귀촌 게스트하우스 세미나실에서 전문가 초청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는 최민규 농촌공간 대표를 비롯해 (사)무주군귀농귀촌협의회 관계자와 군 관계자 등 10여 명이 참석했으며, 최근 귀농·귀촌 인구의 수요와 지역 실정을 바탕으로 한 맞춤형 지원정책의 필요성이 집중 논의됐다.
간담회에서는 ▲최근 1~2년간 무주로 이주한 귀농·귀촌인의 실질 수요를 반영한 정책 개발, ▲귀농과 귀촌의 성격을 구분한 상담 및 지원 체계 마련, ▲청년과 일자리 정책과의 연계를 통한 협업 모델 구축 등의 의견이 제시됐다.
특히 ▲1인 여성 귀농·귀촌인 증가에 따른 맞춤형 지원책, ▲중장년층의 안정적 정착 지원 확대, ▲마을 공동체 기반 체험 프로그램 운영 등 중장기적 관점의 정책 방향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이와 함께 ▲귀촌인의 초기 정착을 위한 사업 발굴·확대, ▲체류형 쉼터 조성 확대, ▲기존 ‘살아보기’, ‘귀농의 집 조성 사업’ 등 정책의 무주형 모델 전환 운영 방안도 논의돼 눈길을 끌었다.
김성옥 무주군 인구활력과장은 “전문가의 식견과 현장의 목소리를 정책에 반영해 무주의 현실에 맞는 귀농·귀촌 정책을 설계해 나가겠다”며 “올해 귀농·귀촌 인구 1,100명 이상 유치를 목표로 지역 활력 제고와 지방소멸 대응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최근 3년간 무주군으로 이주한 귀농·귀촌 인구는 1,744세대 3,287명에 달하며, 군은 농업창업 및 주택구입 융자, ‘전북에서 살아보기’, ‘체재형 가족실습농장’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안정적인 정착을 지원하고 있다.
더펜뉴스 최은화 기자
저작권자 ⓒ 더펜뉴스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