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산시가 기후위기에 대응하고 지속 가능한 도시 기반을 다지기 위해 오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를 43.4% 줄이는 본격적인 ‘탄소중립’ 실천에 나선다. 시는 이를 위해 5대 분야 40개 과제를 담은 ‘제1차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을 수립했다고 13일 밝혔다.
정부의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에 발맞춰 마련된 이번 계획은 2018년 배출량 213만 톤을 기준으로, 2030년까지 120만 톤 수준으로 감축하는 것이 핵심이다. 탄소배출 저감과 함께 흡수원 확충, 시민 참여 확대를 통해 지역 전반의 탄소중립 문화를 확산시킨다는 전략이다.
시가 밝힌 세부 계획은 ▲건물 ▲수송 ▲농축산 ▲폐기물 ▲흡수원 등 총 5개 부문 40개 과제로 구성됐다.
건물 부문에서는 고효율 LED 조명 교체, 친환경 보일러 보급 등이 포함됐으며, 수송 부문에서는 전기·수소차 보급 확대, 충전 인프라 확충, 노후 경유차 조기 폐차 등이 추진된다.
농축산 부문은 전략작물 직불제 도입, 친환경 비료 지원, 폐기물 부문은 투명 페트병 무인회수기 설치, 재활용품 교환제도 운영 등 생활 속 실천을 유도한다.
특히 주목할 점은 온실가스 배출 저감뿐 아니라 ‘흡수’ 대책도 병행된다는 것이다. 시는 현재 전체 시 면적의 24%에 해당하는 1만 2,504㏊의 녹지를 관리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지방정원 조성, 도시숲 확대, 500만 그루 나무심기 등 흡수원 확충에 속도를 내고 있다.
탄소중립은 단순한 기술적 감축을 넘어선 사회 전반의 변화가 요구되는 과제다. 시는 시민 참여가 계획의 실효성을 좌우할 핵심 열쇠라고 보고 다양한 생활 실천을 독려하고 있다.
폐건전지·우유팩·아이스팩 재활용, 에너지 절약, 대중교통 이용, 탄소포인트제 가입 등이 그 예다.
또한 관내 기업을 대상으로는 재생에너지 설비 투자, 친환경 경영 도입 등을 유도하고 있으며, 탄소중립 참여 기업에 대한 행정적·재정적 인센티브도 검토하고 있다.
김형훈 익산시 녹색도시환경국장은 “탄소중립은 행정만의 노력으로 이룰 수 없다”며 “시민과 기업이 주체가 되는 참여형 기후정책을 통해 기후위기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익산을 지속 가능한 녹색도시로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익산시는 이번 계획을 통해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을 위한 기반을 다지는 한편, 중장기적으로는 기후 위기에 강한 생태도시 실현을 목표로 정책 역량을 집중할 방침이다.
더펜뉴스 최민성 기자
저작권자 ⓒ 더펜뉴스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