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주군과 전주시의 행정통합을 둘러싼 논의가 지역사회의 최대 현안으로 떠오른 가운데, 유희태 완주군수가 “모든 결정은 군민의 몫”이라며 공정한 공론화 과정을 다시금 강조하고 나섰다.
유 군수는 19일 완주군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2주간 진행된 ‘완주·전주 행정통합 찬·반 바로알리기’ 활동의 경과와 향후 계획을 발표했다.
그는 이 자리에서 “행정통합은 단순한 제도 개편이 아닌, 주민 삶의 질과 지역의 미래를 좌우하는 중대한 사안”이라며 “특정 정치세력이나 이익집단의 논리에 좌우돼서는 안 된다. 최종 판단은 충분한 정보를 가진 군민의 몫이어야 한다”고 밝혔다.
완주군은 지난 7월 31일부터 8월 13일까지 읍·면 주민설명회와 ‘1마을 담당제’를 통해 마을 현장 중심의 설명 활동을 펼쳤다. 공무원들이 직접 경로당과 마을회관을 찾아 리플릿을 배부하고 주민 질의에 답하는 등 적극적인 소통에 나섰다.
유 군수는 최근 KBS·MBC·JTV 등 지역 방송사 토론회에도 참여해 △행정안전부 여론조사에서 과반 이상 반대 시 통합 중단 △완주·전주·전북이 공동으로 추진할 피지컬 AI 산업 육성 △도청의 만경강 인근 이전과 현 전주시청 부지를 문화복합시설로 전환하는 신도심 리디자인 등 대안을 제시했다.
그는 “105개의 상생발전안이라는 추상적 약속보다, 군민이 체감할 수 있는 현실적 대안이 필요하다”면서 “AI 산업과 도청 이전 등은 통합 여부를 떠나 전북 전체의 성장 기반을 다지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앞으로 완주군은 분야별·세대별 토론의 장을 열어 찬반 양측의 의견이 공정하게 공유될 수 있도록 간담회 장소·자료·패널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유 군수는 이날 기자회견 말미에 “행정통합이 유일한 발전 해법은 아니다. 통합 여부와 상관없이 주민 삶의 질을 높일 상생협력사업은 계속될 것”이라고 강조하며, “정치적 논리가 아닌 **삶의 논리와 경제적 효과를 기준으로 군민이 현명한 판단을 내려달라”고 당부했다.
끝으로 그는 “모든 결정은 군민의 손에 달려 있다. 군민의 뜻을 존중하는 것이 행정의 기본이고, 완주 미래의 출발점”이라고 거듭 밝혔다.
이번 공론화 활동은 오는 행정안전부 주관 여론조사에 앞서 지역사회가 스스로 숙의하고 결정권을 행사하는 자치의 본보기로 평가받고 있다.
더펜뉴스 최은화 기자
저작권자 ⓒ 더펜뉴스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