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읍시는 6·25전쟁 당시 공비 토벌작전 중 산화한 150여 명의 무명 학도병을 기리는 위령제를 지난 25일 산내면 매죽리 산내무명용사묘에서 거행했다.
이날 위령제는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학도병들의 넋을 위로하고, 그 숭고한 희생정신을 기리기 위해 마련됐다. 참배객들은 묵념과 헌화로 전사자들의 명복을 빌며 깊은 추모의 시간을 가졌다.
이곳 산내무명용사묘는 6·25전쟁 당시 치열한 격전지였다. 1950년 11월 13일, 국군 제11사단 13연대 3대대 12중대 소속 학도병 150여 명은 지리산 일대에 잔류한 인민군 토벌작전에 참전했다가, 산내면 하매마을 앞산에서 적의 반격에 휘말려 전원 장렬히 산화했다.
이후 이들의 시신은 한동안 인근 숯구덩이에 방치되어 있었으나, 1951년 지역 주민 故 허병욱 씨가 남아 있던 46위의 시신을 수습해 현재의 묘역에 안치했다. 이어 1987년 10월 묘역과 추모비가 건립되면서, 매년 합동 위령제가 봉행되고 있다.
올해 위령제는 故 허병욱 씨의 아들 허재원 전 이장과 정읍시가 함께 주관해 선열들의 희생정신을 기렸다.
정읍시 사회복지과 관계자는 “자유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산화한 무명 학도병들의 헌신에 깊은 감사를 드린다”며 “그들의 고귀한 희생정신을 계승해 후대에 올바른 안보 의식을 전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더펜뉴스 송형기 기자
저작권자 ⓒ 더펜뉴스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