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왕실에 진상된 ‘정읍지황’, 국가중요농업유산 지정 향해 한 걸음
조선시대부터 임금께 진상되던 약재 ‘정읍지황’이 국가중요농업유산 지정을 위한 현장 조사를 마쳤다. 이번 조사는 지난 11일 옹동면 전통생활문화관과 지황 품종 전시포 등에서 진행됐으며, 자문위원을 비롯해 재배농가와 관계자 등 30여 명이 참석했다. 국가중요농업유산 제도는 국가 차원에서 보전 가치가 있는 농업자원을 지정·관리하는 제도로, ‘농림어업인의 삶의 질 향상 및 농산어촌 지역개발 촉진에 관한 특별법’ 제30조의2에 근거를 둔다. 정읍지황은 조선왕조실록에도 기록될 만큼 역사적 가치가 크다. 지황 재배에 적합한 기후와 토양, 그리고 농가의 꾸준한 노력 덕분에 현재까지 옹동·태인·칠보면 등지에서 재배가 이어지고 있다. 정읍시는 1992년 지황 주산단지로 지정됐으며, 2015년에는 지리적표시 단체표장을 등록했다. 또 2022년부터 올해까지 ‘정읍지황 농촌융복합단지 조성사업’을 추진하며 명성 회복에 힘써왔다. 이날 현장 조사에서는 고려지황을 포함한 11종의 품종과 전통 재배법, 숙지황 가공 방식 등이 소개됐다. 이를 통해 역사성, 전통 농업문화, 특별한 경관 등 농업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증명했다. 김호성 재배농가는 “정읍지황이 국가중요농업유산으로 지정된다면 농가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