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가 완주군민협의회와 전주시민협의위원회가 공동으로 제안한 ‘완주·전주 상생발전방안’을 전격 수용하고, 완주군과의 협의를 거쳐 105개 세부사업에 대한 구체적인 실행계획 수립에 나선다.
시는 이번 상생방안이 통합을 전제로 한 행정 주도의 방식이 아닌, 완주군민과 전주시민이 직접 제안하고 시가 이를 수용하는 시민 주도형 거버넌스 모델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 방안은 통합시 명칭 및 청사, 지방의회 운영, 농촌 진흥, 주민복지, 공정한 인사기준 마련 등 총 12개 분야 105개 사업으로 구성돼 있어 지역 간 균형발전과 미래 성장기반을 마련하는 데 중점을 뒀다.
우범기 전주시장은 7일 전주시청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완주군민과 언제든 소통하겠다”며 상생방안 수용 의사를 공식적으로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는 전주시 주민자치협의회, 통장협의회, 한국농수산대학교 학생회 등 시민 대표들이 함께해 민의 통합의 의미를 더했다.
시는 상생방안의 실행력을 높이기 위해 단기·중장기 과제로 구분해 재원 마련 방안을 병행 검토할 예정이다. 학군 조정, 대기업 및 대형병원 유치 등 민간과 타 기관 협력이 필요한 사업은 지속적으로 협의체를 운영하며 실현 가능성을 높여갈 계획이다.
앞서 우 시장은 지난 3월, 완주·전주 통합이 이뤄질 경우 시청사와 시의회 청사를 완주지역에 건립하겠다는 공개 약속을 내놓은 바 있으며, 전주시 산하 6개 출연기관을 완주로 이전해 행정복합타운으로 조성하겠다는 구상도 밝힌 바 있다. 이 같은 구상은 부시장을 포함한 실국장들의 잇단 수용 발표를 통해 행정적 신뢰를 높이고 있다.
시는 이번 상생방안과는 별개로, 지난 2022년부터 추진해온 ‘전주·완주 상생협력사업’ 역시 차질 없이 이어갈 방침이다. 수소경제 협력, 상관저수지 힐링공원 조성 등 28개 사업이 이미 추진되고 있으며, 상당수 사업이 마무리돼 주민들이 직접 혜택을 체감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우범기 시장은 “이번 상생방안은 완주군민이 먼저 제안하고, 전주시민이 함께 고민한 새로운 통합의 형태”라며 “주민의 뜻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통합에 대한 오해는 대화를 통해 풀어가겠다”고 밝혔다. 이어 “완주·전주 통합은 지역의 미래를 완전(完全)히 새롭게 바꾸는 중대한 걸음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더펜뉴스 장미숙 기자
저작권자 ⓒ 더펜뉴스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