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완주군이 교통 불편과 상점 부재로 어려움을 겪는 농촌 주민들의 생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찾아가는 농촌형 이동장터’를 본격 운영한다고 14일 밝혔다.
완주군은 이날 고산농협과 협약식을 갖고, 농촌 식품사막화와 교통 취약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는 새로운 상생 모델 구축 계획을 발표했다.
‘찾아가는 농촌형 이동장터’는 고산면 농촌중심지 활성화사업의 배후마을 서비스사업 일환으로, 주민들이 생활에 필요한 생필품을 직접 구매할 수 있도록 마을을 방문하는 이동 판매 시스템이다.
이번 사업은 고산면 6개 마을, 비봉면 19개 마을, 동상면 13개 마을 등 총 38개 마을을 대상으로 추진되며, 농림축산식품부와 전북도, 완주군이 지원한 10.3톤 이동판매 차량 1대와 1톤 냉동차량 1대를 활용해 고산농협이 운영을 맡는다.
이동장터는 지난 9월 22일 고산면 화정마을을 시작으로 주 5일 운영되며, 각 마을에 약 30분 정차해 생필품 판매와 주문 배달을 병행하고 있다.
특히 이번 사업은 농림축산식품부가 승인한 전국 5개 시·군 시범사업(충북 청주, 전북 완주, 전남 함평·장성, 경북 의성) 중 하나로, 지역 맞춤형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유희태 완주군수는 “이동장터 사업이 농촌의 식품사막화 문제와 교통 불편을 해소하고, 지역 공동체 회복의 촉매제가 되길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주민 체감형 행정을 통해 농촌 주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더펜뉴스 최은화 기자
저작권자 ⓒ 더펜뉴스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