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이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정원배정기준을 새롭게 마련해 지방공무원의 근무 여건을 대폭 개선한다.
전북교육청은 학교 현장의 의견을 수렴해 ‘각급학교 지방공무원 정원배정기준 개선안’을 확정하고, 내년 1월 정기인사부터 적용할 계획이라고 24일 밝혔다.
이번 개선안의 핵심은 기존의 학급수 중심 배정 방식에서 벗어나, 학생수·학교급·교육공무직원수·건물연면적·3년 평균결산액 등 다양한 요인을 종합적으로 반영한 것이다. 특히 운동부·공동조리교·기숙사 유무에는 가중치를 부여해 최소 2인에서 최대 7인까지 인력을 배정하도록 했다.
전북교육청은 미래교육정책연구소와 행정연구회를 중심으로 지난 2월부터 회귀분석과 설문조사를 실시해, 학교별 행정업무 가중 요인을 반영한 과학적 기준을 마련했다.
그 결과, 기존 2인 행정실 중 22개교는 3인으로 증원되며, 6급과 8급이 함께 근무하는 2인 행정실 중 32개교(31%)는 8급이 7급으로 직급이 상향된다. 이는 현장의 업무 부담을 줄이고 실질적인 행정 효율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전북교육청은 이날 창조나래 시청각실에서 지방공무원 800여 명을 대상으로 ‘정원배정기준 개선 설명회’를 열고, 새로운 배정 체계와 향후 운영 계획을 안내했다.
박성현 행정국장은 “총액인건비 감원 등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이번 개선은 단위학교의 현실을 반영한 합리적 인력 배정”이라며 “전국 최초로 통계 기반 업무 가중 변인을 모두 반영한 기준을 적용한 만큼, 지방공무원의 근무 여건이 한층 개선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더펜뉴스 송형기 기자
저작권자 ⓒ 더펜뉴스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