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보균 전 행정안전부 차관은 3일 익산시청 브리핑룸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이재명 정부가 추진 중인 100조 원 규모의 AI 투자 기조에 발맞춰, 익산형 스마트도시 전략이 시급하다”며 “AI·XR(확장현실) 기술을 기반으로 한 산업 생태계와 실감형 도시 서비스 구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심 전 차관은 익산이 전주권과 새만금권을 연결하는 국가균형발전의 핵심 축이라는 점을 들어 “AI 기반의 스마트시티 플랫폼을 통해 교통, 환경, 문화관광, 시민소통, 헬스케어, 안전 등 도시 기능을 통합 관리하면 행정 효율성과 시민 삶의 질을 동시에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인공지능 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조례’ 제정 △5개년 기본계획 수립 △추진위원회 구성 △단계별 로드맵과 성과지표 설정 등 실행력 있는 정책 수립을 제안했다.
특히 익산의 국가식품클러스터를 거점으로 AI 기반의 스마트 농업, 식품 가공 자동화, 품질 관리 등 특화산업을 육성하고 관련 기업을 유치하는 전략도 함께 내놨다.
지역 제조업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위해선 ‘AI 전환 지원센터’를 설립하고, 실증 테스트베드 구축, R&D 자금 지원, 데이터 공유 플랫폼 조성 등 실질적인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가상융합산업 진흥법에 기반한 메타버스 산업 육성 방안도 주요한 제안 중 하나였다. 그는 “익산 XR 이노베이션랩 또는 메타버스 체험관을 조성해 기업 입주와 기술 시연, 교육, 네트워킹이 가능한 복합 공간을 마련해야 한다”며 “이를 통해 관련 기업과 인재가 모이고 머무를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청년층을 위한 실무형 XR 콘텐츠 교육, 3D 모델링, 메타버스 플랫폼 운영 교육 등을 통해 청년 일자리 창출과 창업 기반 확대에 기여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심 전 차관은 “AI 아바타가 안내하는 메타버스 역사 투어, AR 기반 관광 시스템 등 실감형 서비스로 시민과 관광객 모두가 체감할 수 있는 도시를 만들 수 있다”며 “익산의 역사문화자원과 푸드테크 산업 등을 연계한 디지털 트윈 도시 구현도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끝으로 그는 “기술 변화에 수동적으로 반응하는 시대는 지났다”며 “이제는 지자체가 먼저 선제적으로 전략을 세워 국가 정책을 주도적으로 끌어와야 한다. 익산이 미래형 스마트도시로 도약하기 위한 실행력 있는 준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더펜뉴스 최민성 기자
저작권자 ⓒ 더펜뉴스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