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방소멸 위기 대응을 위한 전략으로 주목받고 있는 생활인구 확대를 위해 김제시가 본격적인 실행 점검에 나섰다. 김제시는 지난 2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생활인구 증대 방안 추진상황 보고회’를 열고, 부서 간 협력과 공동 추진을 통한 생활인구 정책 고도화 방안을 모색했다.
보고회는 김희옥 부시장 주재로 열렸으며, 총 37개 부서장이 참석해 생활인구 확대를 위한 이행 실적과 향후 계획을 공유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단순한 성과 보고를 넘어, 실제 추진 과정에서 드러난 문제점과 개선 방향을 도출하고 실질적 대안을 논의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생활인구는 주민등록 인구와 달리, 특정 지역을 일시적으로 방문하거나 체류하는 사람까지 포함하는 개념으로, 최근 정부가 지방재정 교부세 산정 기준에 이를 반영하기로 하면서 전국 지자체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오는 2026년부터 생활인구를 교부세 산정에 본격 적용할 예정이며, 이에 따라 생활인구 유치에 성공한 지자체는 보다 유리한 재정 운용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김제시는 현재 약 33만 명 수준의 생활인구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정주인구의 4배에 달하는 수치다. 시는 이를 토대로 ‘생활인구 50만 명 시대’를 목표로 설정하고, 분야별 유입 확대 정책을 본격화하고 있다. 주요 추진 과제로는 지역 축제와 문화행사의 활성화, 전통시장과 연계한 관광상품 개발, 외국인 근로자 및 귀농·귀촌 인구 유입, 체류형 정주공간 확충 등이 꼽힌다.
특히 이번 보고회에서는 관광·문화·경제 등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는 생활인구 전략 과제를 각 부서가 분담하고, 협력할 수 있는 공동 추진체계를 강화하자는 데 의견이 모아졌다. 단기 성과보다 장기적인 구조 변화에 방점을 두고, 지역 경제 활성화와 지속 가능한 도시 기반 조성을 동시에 꾀하겠다는 복안이다.
김희옥 부시장은 “생활인구 확대는 단순한 수치 경쟁이 아니라 김제시의 미래 경쟁력을 좌우할 핵심 과제”라며 “정주인구가 줄어드는 현실 속에서 체류인구 확대를 통해 경제와 공동체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다. 부서 간 긴밀한 협력을 바탕으로 실효성 있는 정책이 현장에서 체감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김제시는 향후 분야별 추진상황을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시민의 참여와 민간 자원을 연계하는 거버넌스 기반 정책도 함께 마련해 지속 가능한 인구 구조 전환 모델을 제시할 계획이다.
더펜뉴스 최민성 기자
저작권자 ⓒ 더펜뉴스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