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읍시가 한우 사육 농가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사료 급여법부터 번식·질병에 이르는 현장 중심의 컨설팅과 실무 교육을 이어가고 있다. 정읍시농업기술센터는 지난 21일 정읍한우청년회를 대상으로 ‘한우 비육의 원리와 사료 활용 방법’을 주제로 실무 교육을 실시했다. 이번 교육은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이 주최한 ‘축산현장 맞춤형 종합컨설팅’ 사업의 일환으로 마련됐다. 이날 교육에는 주식회사 D&A 김점현 대표가 강사로 나서 한우의 비육생리와 생산성 향상에 효과적인 사료 급여법 등을 중심으로 강의했다. 교육은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내용으로 구성돼 참석자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정읍시는 앞서 지난 6월에도 한우농가 5곳을 대상으로 개량, 질병, 번식 등 분야별 전문가를 직접 파견해 농장별 맞춤형 일대일 컨설팅을 진행한 바 있다. 이를 통해 각 농가의 개별적 문제를 진단하고 현실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며 실질적인 성과를 도출하고 있다. 정읍한우청년회 회원들은 “사육 현장에서 느끼는 다양한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유익한 시간이었다”며 “앞으로도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교육이 지속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농업기술센터 관계자는 “한우 산업이 여러 외부 변수
정읍시가 연일 계속되는 폭염에 대응해 시설하우스 작물 피해와 전기설비 안전사고 예방에 나섰다. 8일 정읍시 농업기술센터는 여름철 하우스 내 온도가 40도 이상으로 상승하면 꽃의 수정이 이뤄지지 않아 떨어지고, 50도에 달할 경우 생장점이 말라 고사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지온이 30도를 넘기면 뿌리털 생장이 억제되고, 호흡량이 증가해 양분 소모가 많아지면서 작물 생육이 저해된다. 또한 고온이 장기화되면 칼슘결핍으로 인한 품질 저하와 기형과 발생 등 다양한 문제가 나타날 수 있어, 사전 대응이 필수적이다. 센터는 피해 예방을 위해 ▲강한 햇빛 시간대 차광막 설치 ▲빈번한 환기 ▲하우스 온도 30도 이하 유지 ▲농업용 전기기계 사용량 수시 점검 ▲노후 누전차단기 교체 ▲콘트롤 장치와 분전반 청결 관리 등을 강조했다. 이용관 농업기술센터 소장은 “올여름 고온으로 인한 작물 생육 저하와 시설 피해가 우려되는 만큼, 농가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현장 중심의 영농지도를 지속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더펜뉴스 송형기 기자 저작권자 ⓒ 더펜뉴스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5월 들어 이어진 야간 저온 현상으로 벼 육묘에 차질이 생기면서, 전북 정읍시가 농가에 철저한 온도 관리와 적기 이앙을 당부하고 나섰다. 정읍시농업기술센터는 1일 “이달 1일부터 20일까지 정읍의 평균기온이 16.6도로, 평년보다 1.7도 낮았다”며 “특히 최저기온이 10도 이하로 떨어진 날이 10일 이상 이어져 벼 생육이 평균 2~3일 정도 지연됐다”고 밝혔다. 이로 인해 지역 농가들이 본격적인 모내기를 앞두고 육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벼 종자는 온도가 10도 이하로 떨어지면 전분 분해가 원활히 이뤄지지 않아 발아가 늦어지고, 생육 부진이나 병해 발생 위험도 높아진다. 이에 따라 농업기술센터는 “야간 기온이 낮을 경우, 부직포 등으로 모판을 덮어 보온하고, 육묘 단계별로 적정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육묘 과정에서는 출아기에는 30∼32도, 녹화기 20∼25도, 경화기 15∼25도의 온도를 유지해야 한다. 이를 지키지 못하면 모가 약하게 자라 이앙 후 도복과 병해충 피해가 늘어날 수 있다. 특히 중만생종 벼의 적기 이앙 시기는 5월 25일부터 6월 10일 사이다. 지난해 이른 시기에 이앙을 한 일부 농가에서는 고온기에 출수되면서 도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