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7 (월)

  • 맑음동두천 4.1℃
  • 맑음강릉 9.9℃
  • 구름많음서울 3.8℃
  • 구름많음대전 7.8℃
  • 맑음대구 9.7℃
  • 맑음울산 12.0℃
  • 구름많음광주 8.4℃
  • 연무부산 13.8℃
  • 구름많음고창 8.5℃
  • 맑음제주 14.5℃
  • 구름많음강화 2.5℃
  • 구름많음보은 6.2℃
  • 구름많음금산 7.1℃
  • 구름조금강진군 10.4℃
  • 맑음경주시 11.4℃
  • 구름조금거제 13.7℃
기상청 제공

전주, 미래형 대중교통 시대 ‘BRT’ 본격 시동

기린대로 버스중앙차로 구축사업 11월 19일 착수… 내년 11월 개통 목표

 

전주시가 시민들의 생활을 바꿀 미래형 대중교통체계 구축을 위해 기린대로 버스중앙차로(BRT) 구축사업에 본격 착수한다. 시는 오는 19일부터 가로수 이식을 시작으로 내년 11월 개통을 목표로 공사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17일 밝혔다.

 

기린대로 BRT는 호남제일문에서 한벽교교차로까지 9.5㎞ 구간에 설치된다. 시는 여의광장사거리~추천대교, 추천대교~기린로전자상가, 기린로전자상가~오목대 등 3개 구간에서 동시에 공사를 진행하며, 올 연말까지 도로 폭 확보와 기반 정비, 가로수 이식 작업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내년 4월부터는 중앙차로 조성과 전용 신호체계 구축에 착수한다.

 

이번 사업의 핵심은 시내버스 전용차로를 확보해 출퇴근 시간에도 정시성과 신속성을 높이는 것으로, 시민들이 자가용 대신 버스를 이용하도록 유도하는 데 있다. 시내버스 1대 수송력이 자가용 30대와 맞먹는다는 점에서, BRT는 교통 혼잡 완화와 온실가스 감축 등 환경적 효과도 기대된다.

 

전주시는 지하철이 없는 대표적 대도시로, 시내버스가 유일한 대중교통 수단이다. 따라서 지하철이나 경전철 도입이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에서 기존 시내버스 효율을 극대화하는 BRT 도입은 필수적이라는 평가다. 시는 기린대로 BRT를 시작으로 2030년까지 총 28.5㎞ 구간으로 확대해 전주역에서 한옥마을, 월드컵경기장까지 연결되는 대중교통망을 완성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BRT 사업은 일반 지하철이나 도로 개설 사업보다 공사 기간이 짧고, 시민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다”며 “교통 대책을 철저히 마련하고 실시간 공사 현황과 우회 경로를 안내하며 시민 의견을 적극 수렴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시는 BRT 구축을 위해 2021년 기본구상 용역을 시작으로 2023년 개발계획 고시, 2024년 기본 및 실시설계, 지난 4월 중앙투자심사 통과 등 행정절차를 완료했다. 설계 과정에서는 시민단체와 전문가, 시민 의견을 수차례 수렴해 최종안을 마련했으며, 가로수 360주 이식 계획에도 공론화를 거쳤다.

 

최준범 전주시 대중교통국장은 “BRT 사업은 단기간 불편을 감수해야 하지만, 이후 시민 편의와 도시 환경 개선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며 “시민들의 관심과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더펜뉴스 최은화 기자
저작권자 ⓒ 더펜뉴스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정보

프로필 사진
최은화 기자

발빠른정보, 신속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