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주군이 땅속에 잠든 역사자산을 보호하고 개발과의 조화를 이루기 위한 본격적인 행보에 나섰다. 군은 지난 22일 ‘매장유산 유존지역 정보고도화 사업’ 착수보고회를 열고, 총 3억5천만 원 규모의 정밀조사 사업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매장유산 유존지역은 지표에는 드러나지 않았지만 문화재가 묻혀 있을 가능성이 높은 지역으로, 체계적인 정보 관리와 정확한 경계 설정 없이는 무분별한 개발로 인한 유산 훼손이 우려되는 곳이다. 이번 사업은 이러한 우려를 불식하고, 문화유산 보존과 주민의 토지 이용권 보호라는 두 과제를 동시에 해결하겠다는 군의 전략적 접근이다.
보고회에서는 ▲유존지역 정밀 지표조사 ▲보존 조치 방안 수립 ▲유존지역도 제작 등 핵심 추진 일정이 공유됐으며, 전문가 자문과 참석자 의견 수렴도 함께 이뤄졌다.
완주군은 과거 2006년에 제작한 문화유적분포지도를 기반으로 매장문화재를 관리해 왔지만, 지도 노후화, 지적도와의 불일치, 유존지역 경계 불명확 등 여러 한계를 겪어 왔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군은 삼례읍·봉동읍·용진읍·이서면 등 4개 읍면을 우선 조사 지역으로 선정했으며, 선사시대부터 한국전쟁 이전까지의 유산을 대상으로 약 270일간의 정밀 지표조사를 추진한다.
조사 대상 면적은 약 1억 3천만㎡ 규모에 달하며, 이번 사업은 국가유산청과 문화재청, 전라북도가 공동으로 지원하는 국가 차원의 협력사업이라는 점에서도 주목된다. 특히 개발 압력이 높은 도심지역을 중심으로 선정된 만큼 향후 도시계획과 문화유산 보호 간 균형을 위한 모델 사례로 자리잡을 전망이다.
유희태 완주군수는 이날 “매장유산 정보고도화는 단순한 조사사업이 아닌, 문화유산의 체계적 보존과 군민 삶의 질을 동시에 개선하는 미래지향적 기획”이라며, “역사와 개발이 조화를 이루는 문화환경 조성에 행정의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완주군은 조사 이후에도 GIS(지리정보시스템)와 연계한 디지털 기반 유존지역 관리체계를 구축해, 토지 이용과 관련된 군민 불편을 최소화하고 문화재 보존 의무 이행도 강화할 계획이다.
이번 사업은 유산 보호를 행정의 중심으로 끌어올리며, 지속가능한 지역개발과 역사문화 자원의 공존 가능성을 제시하는 중요한 시도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더펜뉴스 최은화 기자
저작권자 ⓒ 더펜뉴스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