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읍시가 지역의 역사와 정체성을 기리고 후대에 자랑스러운 유산을 남기기 위해 의미 있는 명예도로명을 새롭게 제정했다.
시는 지난 23일 시청에서 열린 ‘2025년 제1회 정읍시 주소정보위원회’에서 ‘전봉준길’, ‘정극인길’, ‘무성서원로’ 등 3곳을 명예도로명으로 확정했다. 이번 결정은 지역의 역사적 인물과 문화유산을 도로명에 반영해 시민의 자긍심을 높이고, 방문객들에게 정읍의 역사와 문화를 알리기 위한 취지다.
명예도로명은 법정 도로명과 달리 공식 주소로 사용되지는 않지만, 특정 구간에 특별한 의미와 목적을 부여하는 제도다. 사용 기간은 5년이며, 이후 주소정보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연장 또는 폐지가 결정된다. 이번 제정은 전문가 자문과 주민 의견 수렴 절차를 거쳐 최종 확정됐다.
‘전봉준길’은 이평면 장내리 전봉준 고택 일대를 중심으로 지정됐다. 전봉준은 1894년 동학농민군을 이끌고 탐관오리의 폐단을 바로잡고 민생을 구한 인물로, 근대 민주주의의 씨앗을 뿌린 역사적 인물로 평가된다.
‘정극인길’은 칠보면 무성리의 정극인 묘역으로 가는 길에 부여됐다. 정극인은 우리나라 최초의 가사문학 작품 ‘상춘곡’을 지은 인물로, 한국 문학사에 큰 의미를 남겼다.
‘무성서원로’는 칠보면 무성리 무성서원 인근 구간에 붙여졌다. 무성서원은 고려 말에 건립돼 조선 성리학의 학문과 정신을 계승·발전시킨 대표 서원으로, 현재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돼 있다.
이학수 시장은 “이번 명예도로명 부여는 정읍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후대에 남길 자랑스러운 유산을 만드는 의미 있는 일”이라며 “역사적 인물과 명소가 널리 알려져 지역의 위상이 높아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시는 앞으로도 명예도로명 제도를 적극 활용해 역사와 문화, 인물과 장소의 가치를 알리고 주민들의 공감과 참여 속에 도시의 정체성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더펜뉴스 송형기 기자
저작권자 ⓒ 더펜뉴스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