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주시에서 18일 ‘2025 조선왕조 태조어진 봉안의례’가 노송광장에서 풍남문, 경기전까지 이어지는 구간에서 장엄하게 재현됐다. 이날 행사는 조선왕조 태조어진을 서울에서 모셔와 경기전에 다시 봉안하는 전통 의례를 역사적 기록과 고증을 바탕으로 재현한 것으로, 시민과 관광객 200여 명이 참여해 눈길을 끌었다.
봉안의례는 1688년(숙종 14년) 기록을 근거로 한 고증 의례로, 왕이 행차 중 쉬는 장소인 주정소에서 출발을 알리는 진발의식으로 시작됐다. 전라감사가 선두에 서서 어진을 호위하고, 전사대와 신연, 사관, 도제조, 중사 등이 뒤를 따르는 전통 행렬은 전주한옥마을을 지나 경기전 정전에 이르러 봉안됐다. 봉안 완료를 알리는 고유제로 행사는 마무리됐다.
특히 올해는 어린이·청소년과 문화예술 동호인, 가족 등 다양한 시민 200여 명이 행렬에 참여해 의미를 더했다. 청소년 100인이 올림픽 유치 기원 태권도 단체 품새를 선보였고, 효림초등학교 꿈나무 어린이 50여 명이 기접놀이 공연으로 장관을 이뤘다. 시민과 관광객들은 장엄함과 볼거리가 더해진 행렬에 환호하며 조선왕조 의례 문화를 직접 체험했다.
이번 의례는 (사)전통문화마을 유튜브를 통해 생중계됐으며, 다시 보기를 통해 언제든 감상할 수 있다. 노은영 전주시 문화체육관광국장은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이라는 철학으로 철저한 고증을 거쳐 봉안의례를 진행했다”며 “태조어진 봉안의례가 전주의 대표 역사문화 정례행사로 자리 잡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더펜뉴스 최은화 기자
저작권자 ⓒ 더펜뉴스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