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3 (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익산 왕궁, ‘생태복원의 교과서’로 다시 태어난다

정부 예타 대상사업 선정… 2,400억 투입해 2033년까지 복원 추진
수달·삵·맹꽁이 돌아온 땅, 생태와 사람의 공존지로 재탄생 예고

 

익산시 왕궁면의 오랜 환경훼손 지역이 정부 차원의 대규모 생태복원 프로젝트를 통해 치유와 회복의 공간으로 다시 태어난다.

 

익산시는 ‘왕궁 자연환경복원사업’이 최근 기획재정부 재정사업평가위원회 심의를 통과해 정부 예비타당성조사(예타) 대상사업으로 최종 선정됐다고 3일 밝혔다. 이번 선정은 국가 차원에서 해당 사업의 필요성과 파급 효과를 공식 인정받은 것으로, 본격적인 복원사업 추진의 전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총사업비 2,437억 원(국비 1,691억 원 포함)이 투입되는 이 사업은 예타를 통과하면 2033년까지 왕궁면 일대 182만㎡(축구장 255개 규모)에 달하는 훼손 지역을 대상으로 추진된다.

 

왕궁 지역은 과거 정부의 한센인 격리정책과 축산업 집중으로 심각한 환경오염을 겪어온 곳이다. 1948년부터 한센인들이 강제로 이주해 정착했고, 생계를 위해 축산업이 집중되면서 악취와 수질오염, 생태 파괴가 누적됐다. 정부는 2010년 ‘왕궁환경개선 종합대책’을 수립하고 2011년부터 축사 매입을 단계적으로 추진했으며, 지난해 모든 매입을 완료하면서 오염원 제거의 마침표를 찍었다.

 

이제는 환경의 복원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시점이다. 왕궁 자연환경복원사업은 1단계 ‘자연 생태 복원’과 2단계 ‘생태 경제 기반 구축’으로 구분된다.

 

1단계에서는 고속도로로 단절된 생태축을 연결하는 생태통로를 설치하고, 파편화된 숲을 잇는 생태숲을 조성한다. 또한 자연형 수로 복원과 계단식 논습지 조성을 통해 수질 정화 기능을 되살리고, 수달·삵·맹꽁이·독수리 등 멸종위기 야생동물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2단계는 복원된 생태환경을 기반으로 ‘사람과 자연이 함께하는 생태경제’를 실현하는 것이 목표다.

 

왕궁 일대를 따라 국가생태탐방로를 조성해 생태교육과 관광을 연계하고, 복원 과정을 기록·전시할 ‘왕궁 자연회복 기념관’도 건립될 예정이다. 더불어 연구, 교육, 전시 기능을 겸비한 국립 자연환경복원센터 유치를 추진하고, 주민들이 복원과 관리에 직접 참여하며 이에 대한 보상을 받을 수 있는 생태계서비스 지불제 도입도 검토 중이다.

 

시는 나아가 ‘세계녹색복원엑스포’ 유치를 통해 왕궁 생태복원이 국내를 넘어 세계적인 복원 모델로 확산하도록 할 계획이다.

 

현재 왕궁 일대에는 이미 멸종위기 1급 수달을 비롯해 삵, 맹꽁이, 독수리 등 다양한 생물이 돌아오고 있다. 오염 행위가 멈추자 자연이 스스로를 회복하기 시작한 셈이다. 이는 본격적인 복원사업의 가능성과 필요성을 뒷받침하는 희망의 징표로 평가된다.

 

익산시는 내년 예비타당성조사 본조사 통과를 목표로 행정력을 집중할 방침이다. 시는 환경부와 전북도, 정치권 등과의 협력체계를 강화해 사업의 당위성을 입증하고 최종 통과를 이끌어낸다는 계획이다.

 

정헌율 익산시장은 “왕궁 지역은 수십 년간의 아픔을 간직한 땅이지만, 이제는 치유와 회복의 공간으로 다시 태어나게 될 것”이라며 “익산 시민 모두가 자랑스러워할 대한민국 대표 생태복원 사업으로 완성하겠다”고 말했다.

 

더펜뉴스 최민성 기자
저작권자 ⓒ 더펜뉴스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정보

프로필 사진
최민성 기자

발빠른 정보, 신속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