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실군이 추진 중인 ‘행복콜 버스·택시’ 사업이 교통 소외지역 주민들의 이동권을 보장하며 지역 교통 복지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행복콜 버스·택시는 기존 대중교통 이용이 어려운 주민들이 읍·면 소재지와 전통시장, 병원 등을 편리하게 방문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맞춤형 이동서비스다.
현재 행복콜 버스는 37개 마을, 행복콜 택시는 47개 마을에서 운영되고 있다. 교통 접근성이 낮은 농촌 지역의 실정에 맞춰 주민 생활과 밀접한 필수 교통수단으로 자리 잡았다.
행복콜 버스는 이용 1시간 전 행복콜센터를 통해 예약하는 수요응답형 방식으로 주중에 운행되며, 주민들의 이동 편의를 크게 개선했다. 행복콜 택시는 마을회관에서 버스 승강장까지 500m 이상 떨어진 마을 주민을 대상으로 매주 월요일과 장날 중심으로 운영되며 불편을 해소하고 있다.
이용 요금도 부담이 적다. 행복콜 버스는 일반 1,000원(학생 500원), 행복콜 택시는 차량당 2,000원으로 이용할 수 있어 주민들의 경제적 부담을 크게 덜어주고 있다.
군은 시범운행을 거쳐 주민 의견을 적극 반영하며 행복콜 서비스의 안정적인 정착을 이끌어 왔다. 특히 고령층 비중이 높은 농촌 지역의 특성을 고려할 때, 행복콜 버스·택시는 사라진 마을버스를 대체하는 실질적인 이동수단으로 평가받고 있다. 주민들로부터는 “일상의 자유를 되찾아준 서비스”라는 호평도 이어지고 있다.
앞으로 군은 환승시간 조정, 노선 보완, 마을 단위 연계 운행 확대 등 서비스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개선 작업을 이어갈 방침이다. 또한 이용 주민의 의견을 지속적으로 수렴해 단거리 이동에서도 불편함이 없도록 운영 체계를 정비해 나갈 계획이다.
심 민 군수는 “행복콜 버스·택시는 교통 오지 주민에게 꼭 필요한 필수 교통 복지서비스로 자리 잡았다”며 “앞으로도 주민들의 이동권 보장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교통 여건 개선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더펜뉴스 송형기 기자
저작권자 ⓒ 더펜뉴스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