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제시가 시민의 손으로 기록한 ‘그 시절의 김제’를 통해 지역의 과거와 현재를 잇는 특별한 전시를 마련했다.
김제시(시장 정성주)는 31일 벽골제 신정문 지평선장터에서 시민기록물 전시회 「그 시절, 김제」 개막식을 열고, 시 승격과 시·군 통합 30주년의 발자취를 돌아보는 시간을 가졌다.
이날 행사에는 정성주 김제시장, 서백현 시의회 의장, 시의원, 시민기록물 공모전 수상자와 시민 등 100여 명이 참석했으며, 시민기록물 공모전 시상식도 함께 진행됐다.공모전에서는 대상 1명, 최우수상 2명, 우수상 5명, 장려상 8명 등 총 16명의 수상자에게 상장과 상금이 수여됐다.
이번 전시는 시민이 직접 제공한 기록물과 시 행정기록을 함께 엮어 김제의 30년 변화상을 되짚는 것이 핵심이다.전시에는 김제시 승격 및 시·군 통합 당시의 주요 행정자료를 비롯해, 시민기록물 공모전 응모작 중 선정된 사진·문서·유물 등 다채로운 기록물이 전시됐다.
주요 전시물로는 1989년 김제시청 개관식 사진, 시·군 통합 홍보물, 1995년 제1호 김제시보 등이 포함돼 있으며, 도농 통합 이후 변화된 김제의 행정과 생활상을 한눈에 볼 수 있다.
또한 시민기록물 부문에서는 총 32명과 2개 단체가 제출한 506점 중 일부가 공개됐다.소검산마을과 용지농원마을의 풍경, 혼례·학교·회갑·장례 사진, 동진토지개량조합 영수증 등 일상의 기록을 통해 시민이 바라본 김제의 시대상을 생생하게 전한다.
전시는 오는 11월 16일까지 벽골제 신정문 지평선장터에서 열리며, 지난 9월부터 벽골제 입장료가 전면 무료화돼 누구나 자유롭게 관람할 수 있다.
정성주 김제시장은 “시민 한 사람 한 사람이 남긴 기록이 김제의 역사이자 자긍심의 원천”이라며 “이번 전시가 과거의 기억을 되새기고, 현재의 김제를 새롭게 바라보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제시는 앞으로도 지역의 변화와 시민의 삶을 기록으로 보존하고, 세대를 잇는 ‘기억의 도시 김제’를 만들기 위한 기록문화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더펜뉴스 최민성 기자
저작권자 ⓒ 더펜뉴스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