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안군이 청정에너지 전환의 본격적인 신호탄을 쏘아 올렸다.부안군(군수 권익현)은 24일 부안 신재생에너지단지에서 수전해 기반 그린수소 생산기지 준공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준공식에는 김종훈 전북특별자치도 경제부지사, 권익현 부안군수, 박병래 부안군의회 의장, 김정기 전북도의원 등 정계 인사와 함께 현대건설, 한국수력원자력, 테크로스그룹, 전북테크노파크 등 사업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준공된 수소 생산기지는 2.5MW급 수전해 설비를 활용해 하루 1톤 이상의 수소 생산이 가능한 국내 상업용 설비로, 부안군이 추진 중인 수소도시 조성의 핵심 인프라로 활용될 전망이다. 생산된 수소는 부안 내 수소충전소 2개소와 신재생에너지 연구시설 등에 우선 공급될 예정이다.
권익현 군수는 이날 준공식에서 “이번 수소 생산기지는 단순한 에너지 인프라가 아니라 부안의 미래를 여는 기반이자, RE100 새만금 국가산단 전환과 맞물려 부안을 청정에너지 수도로 만드는 핵심 축”이라며, “수소와 재생에너지, 농생명 산업이 함께 어우러지는 지속가능한 산업 생태계를 실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번 수소 생산기지는 2022년 산업통상자원부 공모사업으로 선정되어 추진되었으며, 총사업비 120억 원이 투입되었다. 전북테크노파크가 주관하고 현대건설, 한국수력원자력, 테크로스 워터앤에너지, 테크로스 환경서비스 등 민간 기업이 공동 참여했다.
설비는 전기 분해 방식(수전해)으로 물에서 수소를 분리해내는 친환경 기술을 기반으로 하며, 250bar(바) 압력으로 압축한 수소를 출하할 수 있는 시스템까지 갖췄다.
올해 말까지 시험 운행을 거쳐 2026년부터 본격 상업 가동에 들어갈 계획이다. 하루 생산 가능한 수소 1톤은 수소차 ‘넥쏘’ 기준 약 200대 분량의 연료에 해당한다.
부안군은 이번 수소 생산기지 완공을 계기로, 수소에너지와 RE100, 농생명 산업을 연계한 지속가능한 미래형 산업도시 모델을 구현하고,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도 실질적인 기여를 하겠다는 방침이다.
향후에는 민간 협력과 글로벌 수소 네트워크 확대를 통해 부안형 청정에너지 생태계를 고도화하고, 국제적인 수소산업 거점으로 자리매김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더펜뉴스 최민성 기자
저작권자 ⓒ 더펜뉴스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